청년문화예술패스란?
청년문화예술패스는 대한민국 19세 청년들에게 공연과 전시 관람비를 지원하여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확대하고자 하는 제도입니다. 2025년에는 2006년 1월 1일부터 2006년 12월 31일 사이에 태어난 청년들이 지원 대상입니다.
청년문화예술패스 지원 내용 및 신청 기간
- 지원 금액 : 1인당 연 10만 원에서 15만 원의 공연·전시 관람비를 지원합니다. 기본적으로 국비 10만 원이 즉시 지급되며, 추가 5만 원은 각 지자체의 예산 상황에 따라 지급됩니다. 지역별 지원 금액은 별도 확인이 필요합니다.
- 신청 기간 : 2025년 3월 6일부터 2025년 5월 31일까지입니다. 신청은 선착순으로 진행되며, 지역별 예산이 소진되면 해당 지역의 발급이 마감될 수 있으므로 빠른 신청이 권장됩니다.
청년문화예술패스 신청 방법
- 협력 예매처 회원가입 및 본인인증
- 청년문화예술패스를 사용하려면 먼저 협력 예매처인 인터파크 티켓 또는 YES24 티켓 중 하나를 선택하여 회원가입과 본인인증을 완료해야 합니다.
- 청년문화예술패스 누리집 회원가입 및 로그인
- 협력 예매처에서 회원가입과 본인인증을 완료한 후, 청년문화예술패스 누리집에 회원가입하고 로그인합니다.
- 신청서 작성 및 제출
- 누리집에서 본인인증을 거쳐 신청서를 작성하고 제출합니다.
- 심사 및 자격 검증
- 제출된 신청서는 자격 검증을 거칩니다.
- 포인트 발급
- 자격 검증이 완료되면 선택한 협력 예매처 계정으로 청년문화예술패스 포인트가 발급됩니다.
청년문화예술패스 사용 안내
- 사용 기간 : 발급일로부터 2025년 12월 31일까지이며, 관람일 기준입니다. 만약 2025년 6월 30일까지 사용 금액이 없는 경우 지원금이 회수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.
- 사용 방법 : 신청 시 선택한 협력 예매처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. 예매 시에는 청년문화예술패스가 지급된 회원 계정으로 로그인해야 하며, 관람할 공연·전시를 선택한 후 결제 단계에서 포인트나 상품권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- 잔액 확인 방법
- 청년문화예술패스 누리집의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가능
- 인터파크 티켓 : 결제 단계에서 잔여 포인트 확인 가능
- YES24 티켓 : 마이페이지 > ‘나의계좌’ > ‘YES상품권’ 메뉴에서 확인 가능
관람 허용 장르 및 비허용 품목
허용 장르
- 공연 : 연극, 뮤지컬, 클래식, 오페라, 발레, 무용, 합창, 국악, 음악 콘서트, 음악 페스티벌 등
- 전시 : 미술, 공예, 애니메이션 전시, 캐릭터 전시 등
비허용 품목
- 공연 : 토크 콘서트, 팬미팅, 강연, 종교행사, 아동/가족 장르, 아동체험전, 음악 이외의 페스티벌(영화제, 학교축제, 관광 등), 행사/축제 등
- 전시 : 아동/가족 장르, 아동체험전 등
주의사항
- 청년문화예술패스는 현금 또는 실물카드 형태로 지급되지 않으며, 신청 시 선택한 협력 예매처의 포인트나 상품권 형태로 지급됩니다.
- 신청 당시 선택한 예매처에서만 사용 가능하며, 복수의 예매처를 선택할 수 없습니다.
- 신청자 본인만 사용 가능하며, 동일 회차의 공연·전시는 1매만 예매 가능합니다.
- 부정 발급 신청(타인의 정보 도용), 사용 계정의 양도 및 판매는 절대 불가하며, 이러한 행위가 적발될 경우 지원금 환수, 잔여 지원금 회수, 사용 중단 등의 처분을 받을 수 있습니다.
자주 묻는 질문
1. 청년문화예술패스를 신청하려면 반드시 협력 예매처에 회원가입을 해야 하나요?
네, 청년문화예술패스를 사용하려면 먼저 협력 예매처인 인터파크 티켓 또는 YES24 티켓 중 하나에 회원가입하고 본인인증을 완료해야 합니다. 이는 패스의 정상 발급과 사용을 위해 필수적인 절차입니다.
2. 신청 후 예매처를 변경할 수 있나요?
아니요, 신청 시 선택한 예매처에서만 패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, 복수의 예매처를 선택할 수 없습니다. 따라서 신청 전에 어떤 예매처를 사용할지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.
3. 청년문화예술패스로 어떤 공연이나 전시를 관람할 수 있나요?
연극, 뮤지컬, 클래식, 오페라, 발레, 국악 공연 및 미술 전시, 공예 전시 등 다양한 문화예술 행사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. 다만, 팬미팅, 강연, 종교행사, 아동·가족용 전시 및 체험전 등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.
댓글